티스토리 뷰
산재보험료 계산방법 계산기를 활용해서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직장을 갖게되면 4대보험을 가입합니다. 그 중에서 산재보험료가 있는데 산업현장에서 사고가 났을 경우 보상받을 수 있는게 산재보험입니다. 그런데 만약을 대비해서 가입하는 나의 보험료는 얼마인지 궁금할 때가 있습니다.
혹시라도 관련 담당자인 경우 정확한 산재보험료 계산방법에 대해 확인하고 싶을때도 활용할 수 있겠지요.^^
검색 후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홈페이지입니다.
기업, 납부서비스 → 보험료등 알아보기 → 산재보험료 알아보기를 선택합니다.
계산결과에 궁금한 사항이나 자세한 사항은 해당지사로 문의 가능합니다.
- 계산시 보수총액의 추정액을 입력합니다.
- 개별실적요율 혹은 임금채권부담금경감 사업장인 경우 산재 보험료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계산기 입니다. 보수총액, 보험료율 찾기, 업종별, 대분류, 중분류, 보험료로 구분됩니다.
같이 계산해보겠습니다.
보수총액은 3,000,000원으로 입력하였습니다.
보험료율 찾기를 선택합니다.
사업세목명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업자등록증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재보험료율표 다운로드도 가능하며 사업세목을 찾기 어려운 경우 고객용 사업종류 검색기를 이용하세요.
제조를 입력하고 검색을 하였습니다.
출판업 및 음반제조업 등 제조업과 관련하여 확인이 가능합니다.
해당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보수총액을 입력하고 찾기를 통해서 나머지 사항이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계산을 클릭합니다.
보험료는 총 36,000원입니다.
산재보험료 계산방법을 통해 계산이 완료되었습니다. 간단하게 확인하였습니다.
사고를 대비하기 위한거지만 사고가 나지 않는게 최고겠지요 항상 안전에 주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