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k패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k패스 홈페이지에서는 이용안내(적립금액, 지급안내), 카드소개, 사용안내(카드사별 지급방식, 모바일페이 이용안내, 카드변경방법), 이벤트 등 확인이 가능하며 보다 자세한 내용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바랍니다.

 

 

k패스 홈페이지 바로가기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K-패스 출시 후 지금까지 이용자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한 사항들을 정리하여 K-패스 앱(App) 누리집(korer-pass.kr)등에 안내합니다.

 

K-패스는 5월1일 출시 이후 회원 120만명(알뜰교통카드 전환자 85만명, 신규 가입자 35만명)을 넘어서는 등 국민들의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k패스 앱 스마트폰 이용

 

k패스 구글플레이 앱

 

K-패스 - Google Play 앱

대한민국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play.google.com

 

k패스 애플스토어 앱

 

‎K-패스(알뜰교통카드)

‎알뜰한 대중교통 생활의 시작,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K- 패스 카드발급과 회원가입이 필수! - K-패스 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

apps.apple.com

 

 

카드소개

 

후불교통카드를 모바일페이 앱으로 이용 시 지원되는 카드 및 앱을 꼭 확인해주세요.

 

해당 카드를 선택하시면 자세히 안내됩니다.

 

체크, 신용, 후불, 실물, 모바일 가능여부를 확인하세요.

 

케이뱅크

 

 

kb국민카드

 

현대카드

 

기업은행

 

신한카드

 

이동의즐거움

 

농협

 

기업은행

 

신한카드

 

DGB유페이

 

이동의즐거움

 

하나카드

 

바로CARD

 

우리CARD

 

농협

 

신한

 

삼성카드

 

DGB유페이

 

KB국민

 

우리

 

광주은행

 

카카오페이

 

하나

 

 

K-패스 주요 Q&A

 

K-패스 사업내용

 

1. K-패스는 어떤 사업인지?

 대중교통 활성화 및 교통비 부담 완화를 위해 걷거나 이동한 거리에 관계 없이 이용한 대중교통비의 일정비율(20~53%)을 환급해주는 사업

일반 20% 적립, 예를 들어 2,000원 기준 400원 할인, 청년*은 30% 적립률로 2,000원 기준 600원, 저소득**층은 53%로 2,000원 기준 1,070원

* (청년) 청년기본법에 다른 만19세~34세(경기, 인천의 경우 만 19세~39세까지 청년으로 인정)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 단, 대중교통 이용요금 월 20만원까지는 이용요금으로 전액 인정되나, 20만원을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용 요금의 505만 인정하여 환급됨

 

2. K-패스 환급금을 받기 위한 조건은?

 만19세 이상, K-패스 참여 지자체에 거주하는 주민 중,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사람은 환급받을 수 있음

- (나이) 만 19세 이상 성인에 한해서만 지원(어린이, 청소년 미해당)

- (거주지) K-패스에 참여하고 있는 189개 시군구 주민 이용 가능

* 서울(25), 경기(31), 인천(10), 대전(5), 세종, 충북(11), 충남(15), 광주(5), 전북(6), 전남(10), 부산(16), 대구(9), 울산(5), 경북(10), 경남(18), 강원(10), 제주(2)

 

- (횟수)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우 환급 가능하며, 최대 60회까지 환급(60회 이상 이용한 경우 높은 금액 순으로 환급)

※ 경기도민, 인천시민의 경위 지자체의 자체적인 추가 혜택에 따라 60회 초과분까지도 지원

 

3. K-패스 혜택이 적용되는 교통 수단은 무언인지?

 K패스는 전국 지하철 광역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GTX 등 적용, 별도 승차권을 발권해야 하는 고속버스/시외버스, 공항버스 KTX, SRT 등에는 미적용

 

4. 이용자가 거주하는 지역 외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k패스 회원이라면 회원의 거주지 외 전국 어디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더라도 혜택을 받을 수 있음

 

 

K-패스 이용 방법

 

1. k-패스 혜택을 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거쳐햐 하는지?

 전용카드(신용, 체크, 선불형 교통카드) 발급 후 회원가입만 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적인 절차 없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음, 회원가입은 k-패스 앱(app)(한국교통안전공단 배포) 또는 누리집(korea-pass.kr)에서 가능

 

2.  k패스 전용카드는 어디에서 발급 받을 수 있는지?

 * 신한, 하나, 우리, 현대, 삼성, bc, kb국민, nh농협, 이동의즐거움, dgb유페이

(후불) 일반적인 신용카드, 체크카드로 카드사 앱 누리집에서 발급 가능하며, 일부(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등)는 은행에서도 발급가능

 

(선불)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편의점, 인터넷(캐시비샵), 지하철 역사(대구지역) 등에서 실물형 선불카드 발급 가능

 

 

 

3. 실물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안드로이드 이용자의 경우, 모바일형 선불카드를 발급받거나 실물카드를 모바일페이(삼성페이 등)에 등록해 이용 가능(아이폰 이용자는 불가)

- (모바일 선불) 선불카드를 발급하는 모바일 앱(모바일 이즐, 카카오페이, im원패스)에서 모바일 선불을 발급해 이용 가능

- (모바일 페이) 후불교통(신용케드)에 한해 모바일페이(삼성페이, 페이코, nh페이, bc페이북 등)에 등록하여 이용 가능

 

※ 카드별 사용 가능한 모바일페이 앱은 k-패스 앱 및 홈페이지 내에서 확인가능

 

4. k-패스 적립내역은 언제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환급금은 언제 지급되는지?

 영업일 기준 최소 2~3일 후, 최대 14일 이후(모바일 페이로 이용한 경우) 적립 내역 확인 가능

* 정산사로부터 대중교통 이용 내역을 수신한 후 정산 하는 구조로, 실제 대중교통 이용내역부터 환급금 계산등에 수일이 소요되어 실시간 적립내역 확인은 불가

 

실제 환급금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음 달 영업일 5일에 카드사로 지급요처되며, 이용자에게 실제 지급되는 날은 상이합니다.

※ 자세한 사항은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지급방식 메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외국인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외국인 등록번호가 있는 외국인에 한해 회원가입 가능,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외국인 등록번호를 입력해 가입가능

 

6. 앱 마켓에 k패스를 검색하면 많은 앱이 검색되는데 어떤 앱을 사용해야 하는지?

 위탁운영기관인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 제작 배포한 공식 앱을 다운받아 이용해야 함.

※ 앱 검색 시 표출 화면 및 설치 링크

 

k패스 구글플레이 앱

 

K-패스 - Google Play 앱

대한민국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play.google.com

 

k패스 애플스토어 앱

 

‎K-패스(알뜰교통카드)

‎알뜰한 대중교통 생활의 시작,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K- 패스 카드발급과 회원가입이 필수! - K-패스 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

apps.apple.com

 

다른 유사사업과의 간계

 

1. 기후동행(서울), The경기패스(경기), I-패스(인천) 등 지자체별 사업들이 다양한데 어떤 점이 다른지?

 (기후동행) 환급이 아닌 사전결제형 무제한 정액권 방식으로 서울 시내 전철(김포골드라인 등 일부 서울시계 외 전철 적용), 서울시 면허버스, 따릉이 등에 적용 가능

* (일반) 따릉이 포함시 6.5만원(제외 시 6.2만원)

  (만19세~39세 청년) 따릉이 포함 시 5.8만원(제외 시 5.5만원)

 

주로 서울시 안에서 전철이나 버스를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람의 경우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한 반면, 서울 ↔ 경기, 인천 등 광역 통행자나 GTX 광역버스 이용자의 경우 전국 지하철 버스 GTX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 적용되는 K패스 이용이 유리

 

(The 경기패스 I-패스) 혜택을 기반으로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사업, 만39세까지 청년 혜택을 제공받으며, 60회를 초과하는 이용 건에 대해서도 환급받을 수 있음

 

2. 경기도의 The경기패스, 인천의 I-패스 이용을 위해서는 별도카드를 발급 받아야 하는지?

 경기도만이나 인천시민은 회원가입만 하면 지자체 추가혜택을 자동으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홈페이지에서는 보다 자세한 내용 확인가능하며 이용을 위해서는 K-패스 홈페이지를 이용하기기 바랍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안내하는 앱을 설치하시면 보다 편리하게 이용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k패스 앱 스마트폰 이용

 

k패스 구글플레이 앱

 

K-패스 - Google Play 앱

대한민국 대중교통비 지원 사업

play.google.com

 

k패스 애플스토어 앱

 

‎K-패스(알뜰교통카드)

‎알뜰한 대중교통 생활의 시작, K-패스로 교통비 걱정 패스! ■ K- 패스 카드발급과 회원가입이 필수! - K-패스 카드와 알뜰교통카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

apps.apple.com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