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위조지폐 감별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위조지폐 발견되는 매수는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유통되고 있는겄까지 한다면 더욱더 많을 텐데요. 현금거래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전통시장의 상인들의 피해가 크다고 합니다.
많은 분들이 몇가지 위조지폐 구분법을 알고 있지만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습니다. 천원권, 오천원권, 만원권, 오만원권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앱을 이용하여 쉽게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사례를 보시면 전통시장에서 가게를 운영하는데 질갑이 이상했다. ATM 기기에 입금하려고 하는데 인시이 안된다. 뉴스에서 무더기로 발견되었다던데 어떻게 구별할 수 있는지? 혹시 접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최근 피해 신고가 증가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자리잡고 있다고 합니다.
올해 상반기 한국은행에 접수된건만 하더라도 총912장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발견된 668장보다 36.5%나 증가한 수치인데 최근 2년 만에 최대 규모라고 합니다.
특히 현금 거래가 주로 이뤄지는 전통시장이나 재래시장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상인들의 피해가 큰상황이라고 합니다.
오만원권 위조지폐 감별법 입니다. 앞면의 띠형 홀로그램은 보는 각도에 따라 우리나라 지도, 태극, 4괘무늬가 같은 위치에 번갈아 나타나며, 그 사이에 액면 숫자 50000이 세로로 쓰여 있습니다. 요판잠삼은 오만원구너을 비스듬히 눕혀 보면 무늬 속에서 숫자 4가 드러나 오비니다. 입체형 부분노출은선은 여러개의 태극무늬가 사방 연속으로 새겨져 있으며은행권을 상하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좌우로, 은행권을 좌우로 움직이면 태극무늬가 상하로움직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가로확대형기번호는 기번호 문자와 숫자의 크기가 오른족으로 갈수록 점차 커집니다. 만원권, 오천원권, 천원권 기번호는 문자의 숫자의 크기가 동일합니다.
뒷면입니다. 앞뒤판 맞춤은 동그란 원 속의 무늬를 빛에 비추어 보면 앞면과뒷면의 무늬가 합쳐져 하나의 태극무늬가 완성되어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숨은 그림은 빛에 비추어 보면 세종대왕 초상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그려져 있는 숨은 그림이 나타납니다. 볼록인쇄는 신사임당 초상, 워램도, 문자와 숫자 등을 손으로 만져보면 잉크가 쌓인 오돌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습니다. 색변환 잉크는 은행권을 기울이면 액면숫자(50000)의 색상이 자홍색에서 녹색 또는 녹색에서 자홍색으로 변합니다.
만원권 위조지폐 구분법은 돌출은환 빛에 비우처 보지 않고도 액면 숫자 10000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숨은막대는 빛에 비추어 보면 은행권 표면에 밝은 숨윽막대 2개가 나타납니다. 숨은은선은 빛에 비추어 보면 문자가 안쇄된 은성이 보이며 홀로그램은 사각형 홀로그램에 보는 각도에 따라 우리나라 지도, 10000 숫자와 태극 4래 3가지 무늬가 번갈아 나타납니다. 요판잠상은 눈 위치에서 비스듬히 보면 숨겨져 있는 문자 WON이 나타납니다.
뒷면은 엔드리스 무늬 좌우상하 무늬를 서로 연결해 보면 일치하고 숨은그림은 빛에 비추어보면 세종대와 초상과 같은 그림이 반대방향으로 타나납니다. 볼록인쇄는 세종대와 초상, 혼천의 문자와 숫자등을 만져보면 느낄수 있으며 색변환잉크는 눈 위치에서 비스듬히 보면 숨겨져 있는 문자 WON이 나타납니다.
오천원권 앞면입니다. 돌출은화 액면숫자 5000확인 가능, 숨은막대 밝은 숨은 막대 3개가 나타남, 숨은은선 문자가 인쇄된 은선이 보임, 홀로그램 우리나라 지도, 5000 숫자와 태극, 4괘 3가지 무늬가번갈아 나타남, 요판잠상 숨겨져 있는 문자 WON이 타나납니다.
뒷면 앞뒤판맟춤은 앞면과 뒷면의 무늬가 합쳐져 완성된 태극무늬가 타나나며 숨은그림은 율곡 이이 초상과 같은 그림이 반대방향으로 타나납니다. 블록인쇄는 잉크가 쌓인 오돌도돌한 감촉을 느낄 수 있음, 색변환잉크 는 황금색에서 녹색으로 변합니다.
천원권 앞면 돌출은화 액면숫자 1000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분노출은선은 홀로그램 문자 한국은행BOK를 새긴 얇은 띠가 일정한 간격으로 보입니다. 요판잠상은 눈 위치에서 비스듬히 보면 숨겨져 잇는 문자 WON이 타나납니다.
천원권 뒷면 앞뒤파맞춤은 앞면과 뒷면의 누늬가 합쳐져완성된 태극무늬가 나타나며 숨은그림은 퇴계 이황 초상과 같은 그림이 반대방향으로 나타납니다. 볼록인수ㅐ는 잉크가 쌓인 오돌도톨한 감촉을 느낄 수 있으며 색변환잉크는 녹색에서 청색으로 변합니다.
지금가지 구분법에 대해 안내하였는데 사실 외우고 있을 수도 없고 어렵습니다. 한국 은행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알기 쉬운 위조지폐 확인법 어플을 다운로드하면 식별요령과 처벌조항, 발견시 행동요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라도 발견하였다면 다음과 같이 대처하세요. 받은 돈이 의심되면 사용자의 인상착의나 차량번호를 기록해두고, 지문 채취가 용이하도록 봉투에 넣어보관해주시고 가까운 경찰서나은행(한국은행 본부 및 지역본부 포함)에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한국은행 대표전화번호는 02-759-4114 입니다.
사용한 사람도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형법 제207조(통화의 위조 등) 행사할 목적으로 통용하는 대한민국의 화폐,지폐 또는 은행권을 위조 또는 변조한 자는 무기 또는 2년 이상의 지역에 처한다, 형법 제208조(위조통화의 취득) 행사할 목적으로 위조 또는 변조한 제207조 기재의 통화를 취득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형법 제210조(위조통화취득후의 지정행상) 제207조 기재의 통화를 취득한 후 그 내용을 알고 행사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위조지폐 감별법 구분법에 대하 자세하게 살펴봤습니다. 장사를 하시는 분이라면 기본적인 내용은 숙지하여 피해를 보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1만원, 5만원권의 사용이 많으니 금액이 큰 경우 기본적인 몇가지라고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