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질환은 무엇이 있는지 증상과 예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은 진드기 매개인 쯔쯔가무증, SFTX가 있으며 설치류 매개인 신증후군출혈열과 렙토스피라증이 있습니다.

 

 

가을철 발열성 질환명도 생소한데요. 자세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신선한 바람과 붉게 물든 단풍을 구경할 수 있는 야외활동하기 좋은 계절이 찾아 왔습니다. 하지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에 대해 자세하게 확인해보겠습니다.

 

 

 

지금부터 숙지하셔서 꼭 실천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적인 가을철 발열성 감염병 조율 및 증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진드시 매개 중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하며 주요 증상은 고열, 오한, 근육통, 복통, 인후염, 가피, 발진이 있습니다. SFTS(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SFTX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며 주요증상은 고열, 구토, 오심, 섨, 림프절비대, 출혈성소견이 있습니다.




설치류 매개로 신증후군출혈열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등줄쥐, 집쥐의소,분변 등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어 발생하며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출혈소견, 소변량 감소가 있습니다. 렙토스피라증은 렙토스티라균에 감염된 쥐, 소, 돼지, 개 등의 소변의 노출을 통해 감염되어 발생하며 고열, 근육통, 두통, 설사, 발진, 결막 충혈이 있습니다.




야외활동 시 예방법은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긴 옷입기, 휴식시 돗자리, 보조방석 사용하기, 야외할동 후 귀가하는 즉시 목욕 및 세탁하기가 있습니다. 




농작업 시 예방법은 농작업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긴 옷 입기, 휴식시 돗자리, 보조방석 사용하기 농작업 후 구기하는 즉시 목욕 및 세탁하기 입니다.





야외 활동 후 또는 농작업시고열과 함께 발열성 감염병 의심증상이 발생되면 즉시 의료기관 방문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


가을철 발열성 감염성 증상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꼭 실천하여 미리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