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생활밀착형 예산 사업
알아두면 유익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생활밀착형 예산 사업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보육, 아동학생, 중장년층에 따라 지원되는 사업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나에게 해당되는 서비스는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첫번째 보육관련 입니다.
공립 어린이집 450개소 확대
- 지원내용 : '17년 3,219개수 → '18년 3,669개소(신규 450개소 설치)
- 이용방법 : 아이사랑포털(www.chidcare.go.kr)을 통해 공립 어린이집에 대해 입소대기 후 우선순위에 따라 입소 가능
- 문의전화 : 보건복지콜센터(129)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지역 확대
- 지원내용 : 18세 미만 자녀 및 부모(보호자) 누구나 이용 가능
- 지원내용 : '17년 66개 지역 → '18년 133개 지역(+47) 안전한 자녀 돌봄활동 장소 및 놀이 프로그램제공, 육아정보 제공 및 나눔기회 제공, 자녀돌봄 품앗이 활동 연계, 장난감 및 도서 대영 등
- 이용방법 : 지역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및 대표전화(1577-9337)
저소득층 아이돌봄 정부지원 확대
- 지원대상 : (영아종일제) 만2세 이하 영아를 대상으로 종일돌봄 제공, (시간제돌봄) 만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시간단위 돌봄제공
- 지원내용 : 시간당 이용단가(돌봄수당) 인상 : '17년 6,500원 → '18년 7,530원 / 시간제 정부지원시간(가형~다형) 확대 : '17년 480시 → '18년 600시간 / 시간제 영아종일제 정부지원비율 소득계층별 5% 상향
- 이용방법 :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문의전화(1577-2514)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두번째 아동 학생
체육활동에 참여제한 받는 학생들 위한 방과후 스포츠프로그램 확대
- 지원대상 : 전국 초, 중, 고등학생
- 지원내용 : 8,250개 학교안 스포츠프로그램 운영(축구, 티볼, 방송댄스 등) '17년 4,200개 프로그램 → '18년 8,250개 프로그램(여학생, 농산어촌학생 또는 수준별 수업 등을 위한 프로그램 추가), 908개 학교밖 스포츠프로그램 운영(볼링, 수영, 승마, 클라이밍 등)
- 이용방법 : (학교안 프로그램) 대한체육회, 시도체육회 또는 시도교육청에 문의, (학교밖 프로그램) 방과후 스포프로그램 홈페이지
실종예방, 신속발견 위한 지문 등 사전등록
- 지원대상 : 18세 미만 아동(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지적/자폐성/정신장애인(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치매환자(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지원내용 : 모바일 안전드림 앱 활용, 자가에서 손쉽게 지문 등 정보 등록 가능, 실종 시 사전등록된 정보를 통해 신속한 보호자 인계 지원
- 이용방법 : 안전 Dream 앱 다운로드, 사전등록신청 메뉴를 통해 정보 등록
청소년 권익보호
- 지원대상 : 근로기준법상 근로(아르바이트)가 허용되는 청소년(13세~19세), 청소년기본법상 청소년 9세~24세
- 지원내용 : 상담지원 및 현장도우미 지원, 근로청소년의 여건에 맞는 종합적인 지원(건강, 진로, 학업복귀, 직업 등)
- 이용방법 : 청소년전화(1388) 및 문자상담 등을 통한 상담 및 지원
중소기업 영마이스터 계약학과
- 지원대상 :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재학생, 졸업생 또는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출신 전문대 졸업생으로 중소, 중견기업에 6개월 이상 재직자 또는 신규채용자(동시채용형)
- 지원내용 : 학생에게 학위(학사 또는 전문학사) 취득을 위해 최대 2년간 등록금 지원, 등록금의 85%(동시채용형은 100%) 지원
- 문의전화 : 중소벤처기업부 인재활용촉진과(042-481-4493)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세번재 중, 장년층
여성전용 임대주택
- 지원대상 : 무주택자에 해당하는 저소득 1인 여성가구
- 지원내용 : (매입대상)전용 85제곱미터 이하 다가구, 다세대, 연립 및 오피스텔(주거용), (임대조건) 시중전세가의 30% 수준 적용, 수도권 50제곱미터 기준 임대보증금 650만원, 월임대료 약 15만원
- 이용방법 : LH 등 사업시행자의 여성전용 매입임대 입주자 모집시 신청, 문의전화 044-201-4580
자율주택 정비사업
- 지원대상 : 주택개량을 희망하는 단독, 다가구 주택 소유주로 구성된 주민합의체(20세대 미만)
- 지원내용 : 자율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는 주민협의체에 사업지 50% 범위에서 연2%의 주택도시기금 융자 실시 및 지자체 행정지원
- 이용방법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문의(www.khug.or.kr), 문의전화 02-3771-6253
치매국가책임제 이행
- 지원내용 : (치매안심센터) 상담이후 서비스 연계 전까지 초기 안정화(3~6개월)를 위한 단기 이용시설인 치매단기쉼터 설치, 운영, (치매안심형 장기요양기관) 치매안심형 시설 대폭 확대 : 치매안심형 요양시설 '17년 22개소 → '18년 130개소, 주야간보호시설 '17년 9개소 → '18년 93개소, (치매관련 R&D 지원) 예방, 조기진단, 치료, 돌봄 등에 걸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연구개발 지원
- 이용방법 : (치매안심센터) 보건복지콜센터(129),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 (치매안심형 장기요양기관)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1577-1000), (치매관련 R&D)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생활밀착형 예산 사업에 대해 안내하였습니다. 해당되는 사항이 있다면 지금바로 신청하세요. 지금당장 이용하는데 제한이 되더라도 2018년도에는 확대되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이용방법을 확인하여 문의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