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5월9일(화) 대선투표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사전투표기간에는 투표시간이 06:00~18:00까지 였으나 본 투표시간은 06:00~20:00까지로 투표시간 연장 되었습니다. 임시공휴일이지만 업무로 인해 출근하시더라도 퇴근 후에도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전투표는 어느곳에서도 가능했지만 본 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 만약 내가 가야할 곳이 어디인지 정확히 모른다면 대선 투표소 찾기를 이용하면 조회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얼마남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장소로 가게되면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투표시간 연장이 되었더라도 가능하면 1시간 전에 완료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라도 헛걸음 하지 않도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의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신거절차에 대해서는 위의 내용을 보면 한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습니다.

 

 

 

함께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지참하신 신분증을 제시하고 선거인 명부에 서명합니다.




투표용지를 받고 기표소로 이동합니다.




기표소에 비치된 기표용구로 기표를 합니다. 기표소내 투표지 촬영은 금지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투표지를 투표함에 넣으시면 됩니다.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셨으면 출구로 나가시면 됩니다.




소중한 선거권 바르게 투표하기 위해 유효투표와 무효투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왼쪽은 유효투표이며 오른쪽은 무효투표 예시입니다.




날인한 표가 완전하지 않지만 정규의 기표용구를 사용한 것은 유효하며 정규으 기표용구를 사용하지 않은것은 무효입니다.




투표용지의 일련번호가 절취되지 않으면 유효, 청인이 날인되지 않은 것 무효




다른 후보자란이 인육으로 것은 유효, 2란에 걸쳐서 기표한 것은 무효




여백에 추가 기표된 것(접선되지 않은 것)은 유효, 서로 다른 후보자란에 2개 이상의 기표된 것 무효




여백에 추가 기표된 것(접선되지 않은 것) 유효, 토표지가 완전히 찟어져 어느란에 표를 한 것인지(찢어진 부분에 추가 기표한 것이 있는지)를 확인 할 수 없는 것 무표




한 후보자란에만 2번이상 기표된 것 유효, 기표한 후 문자 또는 물형을 기입한 것 무효




후보자란에 접선하여 기표된 것 유효, 기표하지 않고 문자 또는 다른 표시를 한 것 무효




대선 투표소 찾기 방법입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홈페이지 메인화면입니다 주요선거정보에서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확인해보세요. 저는 선거공보 및 10대 공약을 자세하게 살펴봤습니다. 개표절차는 어떻게 되는지도 미르 확인했습니다.




바로 아래를 보시면 투표소 찾기 서비스가 있습니다. 내투표소를 선택해주세요. 기타 투표 진행상황과 개표 진행상황도 확인 가능합니다.




시도, 구시군, 성명, 생년월일, 성별을 선택하고 검색을 클릭하시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2017년 5월9일 실시하는 제19대 대통령선거의 본인 선거일투표소 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주민등록번호 끝 3자리를 입력하면 보다 정확한 선거일 투표소 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시도는 서울시, 부산시, 대구시, 인천시, 광주시, 대전시, 울산시, 세종시, 경기도 강원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도로 구분되며 구시군은 나의 주소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조회된 정보를 확인해보면 투표소명, 건물명, 투표소주소, 등재번호, 약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위치가 어딘이 자세히 확인하기 위해 약도를 클릭해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지도로 위치 확인이 가능합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앱을 사용하면 편린하게 활용이 가능합니다. 플레이스토어에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검색해주세요. 최상단에 있는 선거정보를 클릭해주시고 설치합니다.




제10대 대통령선거와 관련하여 공지사항이 나오면 바로 아래에 있는 선거정보모바일을 클릭해주세요.




내투표소 찾기를 선택하시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기타 정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리하면 대선 본 투표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장소는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합니다. 대선 투표소 찾기를 통해 정확한 장소를 확인 후 신분증을 지참해서 방문하시면 됩니다. 

 

 

 

나하나쯤은 안해도 되겠지라는 생각보다는 나부터 투표하여 대한민국을 함께 만들어가는데 동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