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식목일은 나무를 심고 아껴 가꾸도록 권장하기 위해 국가에서 정한 날입니다. 세계 유래를 살펴보면 미국 네브래스카주에서 1872년 4월10일 나무심기 운동을 주장한 J.S. 모턴의 생일인 3월 22일을 나무의 날로 정한것으로 시작되었는데 전세계적으로 퍼졌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4월5일 인데요. 1949년 대통령령으로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건을 제정하여 시작되었으며 1960년에 식목일이 공휴일에서 폐지되고 3월15일 사방의 날로 대체지정하였으나 중요성이 다시 대두되어 1961년 부터 공휴일로 부활되었습니다.
이후 1982년 기념일로 지정되었지만 2006년 또다시 공휴일에서 폐지되고 현재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매년 행사는 4월15일 전후로 진행되고 있으며 오늘은 식목일 행사 계획안을 살펴보겠습니다. 매년 일정확인 방법은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산림보호, 연구, 교육, 통계, 자원, 정책, 임산물정보, 휴양림, 산림공공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로 이동하면 상단의 메뉴중 분야별 산림정보를 선택해주세요. 하위 메뉴중 좌측 첫번째 산림자원에서 두번째 조림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음과 같이 산림청과 함께하는 식목일 내나무 갖기 캠페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국민 누군 내 나무를 가지는 내나무 갖기 캠페이에 대해 확인이 가능한데요. 체험행사장을 찾아가 내 나무를 심는 나무심기행사 참여, 나무를 무료로 나누어 드리는 무료 나무분양, 산립조합에서 각종 임업기술 상담 및 저렴한 가격으로 좋은 묘목을 판매하는 나무시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식목일 행사 계획안 일정도 확인가는한데요. 전국일정을 지역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시군구관리소, 행사구분, 일자, 행사장소, 수종, 식재면적, 식재본수, 참여인원, 참여방법, 담당부서, 연락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강동구, 서울특별시, 양천구), 부산(부산시, 중구, 서구, 연제구)
인천광역시청, 대전(대덕구), 울산(본청, 중구, 남구,동구, 북구, 울주군), 세종시
경기(부천시, 용인, 구리, 양주), 강원(염월군), 충남(보령시, 청양군, 금산군, 홍성군, 부여군, 서천군, 태안군)
충북(청주시, 충주시, 제천시, 옥천군, 영동군, 진천군, 괴산군, 음성군, 단양군), 전북(전주시, 군산시, 익산시, 진안군, 장수군, 고창군, 부안군)
전남(목포시, 여수시, 순천시, 나주시, 광양시, 담양군, 구례군, 고흥군, 보성군, 화순군, 영암군, 함평군, 영광군, 장성군)
경북(포항시, 경주시, 안동시, 상주시, 의성군, 영덕군), 경남(창원시, 진주시, 김해시, 밀양시, 거제시, 양산시, 남해군, 하동군, 함양군, 함천군)
제주(제주시, 서귀포시), 동부(강릉, 양양, 평창, 영월, 정선, 삼척 태백 관리소), 남부(영주, 영덕, 구미, 울진, 양산)
서부(정읍, 무주, 영암, 순천, 함양), 국립산림과학원, 산립조합중앙회(양평, 서산, 논산개룡, 담양, 하동조합)
식목일 행사 계획안에 대해 안내하였는데요. 참여방법은 인터넷접수 또는 전화예약, 조합원, 선착순, 자율참여로 구분됩니다. 참석을 위해서는 접수방법을 확인하시고 미리 접수해주시고 자세한 행사일정은 홈페이지 또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4월15일 나무를 심으면서 소중한 사람과 보람있는 하루를 보내시기 바랍니다.^^